안녕하세요 여러분:)
리치 새댁입니다.
벌써 2024년 연말이 훌쩍 다가왔네요!!
올해도 어김없이 연말정산의 시즌이 다가오고 있어요.
저도 회사를 다니면서 연말에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막막하고,
절세 혜택도 챙기지 못했던 지난 날들이 떠오르는데요,
오늘 저와 함께 연말정산 시 연금저축 계좌를 통해 쉽게 세액 공제 받는 방법 알아보도록 해요!!
1.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
연금저축 보험과 연금저축 펀드를 통해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요,
그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총 급여액 | 5,500만원 이하 | 5,500만원 초과 |
공제납부 한도 | 600만원 | |
세액공제율 | 16.5% | 13.2% |
세액공제액 | 최대 99만원 | 최대 79.2만원 |
즉, 연 600만원 납입 시 최대 99만원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정말 좋은 제도이지만,
앞으로 인구가 줄어드는 만큼 그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해요.
그래서 저희의 노후 대비는 저희 스스로 미리 세팅해 두면 좋겠죠?
연금저축 펀드를 통해서
노후 준비도 하면서 + 세금도 환급 받고 + 과세 이연 혜택까지!!
이러한 세액공제 혜택은 국가에서 주는 큰 혜택이니 만큼 꼭 챙겨야겠죠?
(주의점 :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을 받거나, 연 소득 3천만원 이하 시에는 돌려받을 세금이 적을 수 있음)
2. 연 소득별 연금저축 납부 금액 추천
연금 저축 계좌의 혜택은 알겠으나, 내가 얼마 정도를 납입하는 게 좋을지
헷갈리시는 분들이라면 다음의 표를 참고해 주시면 좋을것 같아요.
3천만 원 이하 또는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 비 추천 |
4천만 원 이하 | 월 5~10만 원 (연 60~120만 원) |
5천만 원 이하 | 월 10~15만 원 (연 120~180만 원) |
6천만 원 이하 | 월 15~20만 원(연 180~240만 원) |
7천만 원 이하 | 월 30만 원 이상(연 360만 원~) |
1억 이상 | 월 50만 원 (연 600만 원) |
3. 연금 저축 펀드를 이제야 알게 되었는데 지금 해도 세액 공제 받을 수 있나요?
연금저축은 1년간 납입한 총금액에 대해 세액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아직 올해 납입을 하지 않았더라도 일시금으로 납입 하기시를 추천드립니다.
또한, 연금 저축 펀드와 연금 저축 보험 모두 세액 공제 혜택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자산을 살 수 있는 연금 저축 펀드를 추천 드립니다.
연금 저축 보험은 인플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4. 연금저축 펀드 개설 후 ETF 매수하지 않아도 세액 공제 혜택 받을 수 있나요?
ETF 매수하지 않고 현금만 넣어두더라도 연말정산 받을 있으니 지금 현금이 있으시다면,
연금 계좌 개설하고 세제 혜택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5. 연금 저축 펀드 개설 후에 안정적으로 넣을 만한 ETF가 있을 까요?
S&P 500과 같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ETF에 투자를 하시는 것을 더 추천드립니다.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은 ETF입니다.^^
6. 연금 저축 펀드 개설은 어디에서 할 수 있나요?
연금 저축 펀드 개설은 증권사를 통해 (키움, 미래에셋대우 등) 신청할 수 있으며,
기존에 연금 저축 보험이 있더라도 증권사 앱을 통해 연금 저축 펀드로 쉽게 이전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 증권사에서 참고하세요.^^)
오늘은, 연말정산 시즌 기념으로
저와 함께 연금 저축 펀드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았는데요,
저와 함께 올해 연금 저축 펀드를 통해서 세액 공제 16.5% 혜택 꼭 챙겨가시길 바랄게요!!
그럼 저는 다음에 더 좋은 정보로 찾아올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